11번째 세계(비교)
r39 vs r40 | ||
---|---|---|
... | ... | |
23 | 23 | == 개요 == |
24 | 24 | [[A Dance of Fire and Ice]]의 공식 레벨 중 [[세계/세트2|세트2]]의 다섯번째 레벨인 '''11번째 세계'''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
25 | 25 | == 특징 == |
26 | 이번 정규 세계에 사용된 메인 레벨의 노래는 리듬게임을 많이 접해봤다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유명한 Yooh 작곡가가 맡은 외주곡이다. |
|
27 | 메인 레벨의 BPM이 '''193'''으로 8번째나 10번째 세계의 메인 레벨 BPM보다는 느리긴 하지만 이 정도라도 초심자들에게는 빠른 속도로 느낄 수 있다. 특히 이번 세계 주제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전 세계들에서 등장했던 다양한 다각형 패턴들이 위의 빠른 속도와 함께 등장하므로 초심자 플레이어들에게 상당한 압박으로 작용한다. 다만, 이전 8번째 세계와 10번째 세계로 단련된 플레이어들은 의외로 쉽게 돌파가 가능하기도 한다. |
|
28 | 정규 세계 최초로 플레이 도중 죽어도 저장된 중간 지점에서 다시 플레이 할 수 있는 '''체크포인트'''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물론 여기에 추가된 체크포인트는 메인 레벨 초반에 토끼 타일로 가속하기 직전에만 있어서 초반의 쉬운 구간을 스킵하는 용도로 쓰였기 때문에 실제 난이도적인 부분에서 크게 변화를 주지는 않는다. |
|
29 | ||
30 | 가장 큰 특징으로는 정규 세계 최초로 '''보스전''' 컨셉의 디자인을 채용했으며, 메인 레벨 곳곳에 '''쥐''' 캐릭터 오브젝트가 상당히 많이 등장한다. 심지어 보스전 컨셉으로 등장한 보스 캐릭터도 커다란 쥐다. 이는 11번째 세계의 출시 년도의 60갑자가 경'''자'''년으로 쥐의 해이기 때문에 쥐와 관련된 오브젝트를 넣은 것으로 추정된다. |
|
31 | 참고로 이 정규 세계의 업데이트 날짜가 '''얼불춤 1주년'''이라 메인 레벨에 사용된 쥐 캐릭터는 추후 얼불춤의 대표 마스코트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
|
32 | ||
33 | 또한 이번 세계 업데이트의 가장 주요한 업데이트 사항으로 에디터에 처음으로 '''장식''' 기능이 추가되었다! 비록 당시엔 버그도 많고 최적화가 잘 안 되어있어 사용하면 레벨이 기하급수적으로 느려졌던 단점이 있었지만 이 기능으로 인해 얼불춤 커스텀 레벨의 퀄리티는 에디터 고인물들의 활약으로 이전 장식이 없었을 때보다 더욱 더 향상되고 다채로워졌다. |
|
34 | 그 외에도 에디터에서도 이전의 9번째 세계에 등장했던 '''네온 불빛''' 타일과, '''보석'''이라는 새로운 타일 종류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행성의 공전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는 '''행성 공전 가감속''' 이벤트가 새로이 에디터에 추가되었다. 또한 이 업데이트로 드디어 배경으로 지정한 이미지가 카메라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배경 회전 잠금''' 기능도 추가되었다. 그리고 특이하게도 F5와 F7키를 누르는 것으로 각각 '''5각형''', '''7각형''' 모양의 타일을 생성할 수 있었는데, 실제로 이러한 타일 모양의 박자[* 각각 5잇단, 7잇단의 박자다.]를 가진 곡이 많지 않아 처음엔 사용률이 저조했지만 아직 자유 각도가 없었던 에디터에 이 기능을 통해 타일 모양을 적절히 변형하면 각도가 '''1도보다 작은 각도'''를 가진 타일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이때 만들어진 각도의 타일들은 이전에 8번째 세계 업데이트 전 미드스핀 타일을 만들었을 때 나타났던 모양인 회색 타일로 표시되었었다. |
|
35 | 여러모로 에디터계의 두 번째 혁신이라 불릴 만한 기념비적인 정규 세계라고 볼 수 있다. |
|
36 | 36 | == 튜토리얼 == |
37 | 37 | === 11-1 나선 === |
38 | 38 | ||<table align=left><-6><tablewidth=400><colbgcolor=#271734,#241630><table bordercolor=#7B7B7B,#9EA1B1><colcolor=#C8CBE4>11-1[br]'''{{{+2 나선}}}'''[br]{{{-1 Helix}}} || |
... | ... | |
123 | 123 | ||<-12>[include(틀:레벨 태그,tag1=Tresillo,tag2=Triplet)] || |
124 | 124 | ||<-12><bgcolor=#271734,#241630><nopad>'''{{{+1 {{{#C8CBE4 | 난이도}}}}}}''' || |
125 | 125 | ||<-4> {{{-1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Zdcrfwxbuew1DE8WYm2geTHYEQii288P07dokyZ2NlU/edit?gid=1992961051#gid=1992961051|난이도 시트]]}}}[br]'''{{{+5 {{{#FFEE6B 5}}}}}}''' ||<-4> {{{-1 ADOFAI.gg}}}[br][[파일:gg Lv 6.svg|width=40]] ||<-4> {{{-1 TUF}}}[br][[파일:TUF Lv P5.png|width=40]] || |
126 | 11번째 세계의 메인 레벨이다. |
|
127 | 이전 세계의 메인 레벨들에 비해 카메라 효과의 빈도가 크게 늘었으며, 복잡한 타일 이동 이벤트가 적극적으로 사용된 정규 세계이다. |
|
128 | BPM 자체는 이전의 8번째 세계와 10번째 세계보다 느리긴 하지만 여전히 '''193'''이라는 빠른 속도를 가지고 있으며, 길이 서로 겹친 부분이 많아져서 패턴을 아직 제대로 익히지 않았다면 난잡한 카메라 효과와 더불어 혼란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
|
129 | ||
130 | 기본적으로는 16분박 기반의 박자가 주를 이루지만, 중반부와 일부 구간은 예외로 셋잇단 위주의 박자가 등장하는 등 이번 세계의 주제에 맞게 다양한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길 모양의 박자들을 처리해야 한다. |
|
131 | 가장 주의해야 할 구간은 중반부에 등장하는 '''육각형 모양 기반의 셋잇단 박자''' 구간과 후반부에 잠깐 느려졌다가 다시 빨라지면서 바로 진입하는 '''우주선 함대'''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
|
132 | 전자는 패턴의 박자도 특이한 편이지만, 패턴을 진행하면서 길의 박자를 따라 움직이는 '''정신없는 타일 카메라'''가 요주의 기믹이다. 이 구간에서 길을 보려고 하면 상당히 헷갈릴 수 있으므로 눈보다는 귀를 믿으면서 튜토리얼에서 배웠던 패턴의 박자를 그대로 입력하면서 돌파하면 쉽다. |
|
133 | 후자는 난잡한 이펙트는 없지만, 이전에 나왔던 튜토리얼 패턴 중 가장 복잡한 패턴에 곡의 빠른 BPM이 어우러져 전체 구간 중 가장 어려운 구간으로 평가된다. 이 구간 역시 튜토리얼에서 제시된 패턴과 거의 동일하게 등장하므로 튜토리얼의 '우주선 함대' 패턴에 익숙해지면 쉽다. |
|
134 | ||
135 | 정규 세계 최초로 보스전의 컨셉을 사용한 메인 레벨로, 처음엔 느린 BPM으로 2번째 세계와 같은 맑은 하늘의 평이한 분위기로 일자길을 진행하다가 토끼 타일을 밟은 후엔 갑자기 하늘이 보랏빛으로 변하면서 레벨이 시작된다. |
|
136 | 중반부의 셋잇단 구간부터는 배경에 보스인 거대한 쥐가 왕좌에 앉은 자세로 플레이어를 노려보는 듯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계속 진행하면 플레이어의 행성이 지나간 타일이 보스 쥐에게 날아가 타격을 입히면서 점점 피해를 누적해서 받는 듯한 연출이 이어진다. 더욱 진행하면 보스 쥐는 몸에 점점 균열이 가기 시작하고, 곳곳에 산재한 작은 쥐들은 보라색 삐에로 모자와 함께 마치 세뇌를 받는 모양인 듯 눈이 보랏빛으로 물들거나 아예 몸 전체가 새까맣게 변해버린 듯 분위기가 고조되다가 마지막에 레벨을 클리어하면 최후의 공격으로 보스 쥐는 상반신이 파괴되고 그 안에 본체로 추정되는 빨간 왕관을 쓴 작은 황금색의 쥐가 모습을 드러내면서 레벨이 마무리가 된다. |
|
137 | ||
138 | 여담으로 작곡가 [[Riya]]가 이번에도 튜토리얼을 담당했다. 이것으로 Riya는 작곡가로서 공식 레벨에 연속으로 세 번이나 참여한 외주 작곡가가 되었다. |
|
139 | 또한 리듬게임 작곡가로 유명한 Yooh의 곡이다 보니 메인 레벨에 쓰인 Heracles는 정규 세계 수록곡임에도 특히 유저 커스텀에서 자주 쓰이기도 한다. [* [[https://www.youtube.com/watch?v=G5AlgOa1_co|확장 버전의 곡]]도 있는데 작곡가 Yooh는 얼불춤에 수록된 Heracles만 사용 허가를 내렸으므로 '''이 버전은 얼불춤 커스텀에 사용할 수 없다'''.] |
|
140 | ||
141 | 목표 배속은 1.2배로, 기본 BPM이 193에서 231.6로 증가한다. 역시 BPM이 상당히 빠른 편이라 어려운 편이다. |
|
142 | 142 | == 여담 == |
143 | ||
143 | * 우주선 함대 파트의 박자와 맞도록 곡의 일부가 수정되었다. |
|
144 | * 사소한 변경점으로, 이번 세계 업데이트부터 판정이 뜨는 위치가 밟은 타일의 전 타일 위에서 밟은 타일의 바로 위에 뜨는 것으로 바뀌었다. 또한 판정이 뜨는 효과도 새로 추가되었다. 효과는 크기를 0에서 100으로 Out Back의 가감속으로 키우는 것으로 보인다. |
|
144 | 145 | [[분류:공식 레벨]] |